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isos

의문문에서의 상승조와 상대방의 답변 본문

스페인어문학, 올라!

의문문에서의 상승조와 상대방의 답변

③㎍ 2020. 9. 6. 09:00

의문문에서의 상승조는 상대방의 답변에 대한 불확실성과 공손함 등의 의미적 요소를 내포하기 때 문이다. 14) 예를 들어 어떤 화자가 비가 오는지 안 오는지를 질문한다고 가정하면, 지 금 현재 비가 오는 사실을 의아해 하며 의심스런 태도의 뉘앙스로 질문할 수도 있고, 당장 나가야 하는 상황인데 비가 와서 황당해하며 짜증스런 뉘앙스로도 질문할 수 있 다. 즉, 슬픔, 짜증, 기쁨, 걱정, 분노 등의 감정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패턴을 따라 발화하게 되는 것이다. 즉, 말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을 말하는 태도 역시 중 요함을 알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에서의 억양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어떤 억양을 선택함에 있어 문맥의 중요성을 염두에 둘 필요 성이 있다. Brown(1980)은 억양과 특별한 상황에서의 화자의 의사소통의 의도와의 밀 접한 관계를 설명하였고 현명한 교육자는 학습자가 문맥에 따른 올바른 억양을 실현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고, 억양의 상호 의사소통의 기능과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 도록 도와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2.6.4. 심리적 기능 13) Navarro(1974:209)는 억양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Por el tono con que se pronuncie, una palabra de reproche puede convertirse en un elogio, un cumplimiento en una ofensa, una felicitación en una burla, etc.” 14) Martinez(1989:74)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며 억양의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표현의 기능을 역설하였다: “Es la parte final de la línea melódica, principalmente, donde se concretan todas estas posibilidades expresivas o singnificativas. Las expresivas son reflejo de factores como actitudes y sentimientos que, en la práctica, pueden ser difíciles de distinguir. Por ejemplo, una entonación ascendente puede indicar una actitud determinada-incredulidad, indecisión, etc.-, así como una emoción: alegría, ansiedad [...].” - 29 - 억양은 어떤 정보를 우리가 더욱 쉽게 알아듣고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 련의 숫자를 운율이 섞인 단위로 나눈다면 보다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 럼 말을 억양구로 결합하는 능력은 언어습득의 중요한 특징이다. 아래와 같이 일련의 숫자들을 몇 개의 단위로 나뉘어 읽으면, 훨씬 기억하기 쉽게 된다. 387773155 : tres-ocho-siete-siete-siete-tres-uno-cinco-cinco. 387,773,155: tres-ocho-siete, siete-siete-tres, uno-cinco-cinco. 2.7. 스페인어 억양의 구성 요소 2.7.1. 성조 단위(Grupo Fónico)와 휴지(Pausas) 성조단위(grupo fónico)는 담화의 한 부분으로 의미적으로, 문법적으로 일관성 있 는 한 단위를 일컫는 말이다. 화자가 말을 할 때에 아무 곳에나 휴지(pausas)를 두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적절한 곳에 휴지를 두어야하는 것을 감안할 때, 문장은 여러 성조단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성조단위가 문어체에서는 쉼표(,) 세미콜론(:) 마침표(.) 사선(/) 등을 통해 나타낼 수 있지만, 15) 담화 상에서는 이러한 구두점을 표 시할 수 없기에 적절한 위치에서 화자는 쉼을 통해 발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휴 지(Pausas)를 통해 끊어서 말을 해야 청자가 화자의 말을 좀 더 쉽게 이해하게 될 것 이다. Navarro(1966:38)는 성조 단위를 grupo fónico 혹은 unidad melódica라 명명했 고, 두 개의 휴지 사이에 있는 구나 절을 의미한다고 정의 내렸고, Iribarren(2005:105)은 두 휴지(pausas) 사이에 오는 발화단위라고 설명하였으며, 이러 15) Navarro(1974:216-217)에 따르면, 성조단위는 쉼표와 같은 문장 부호로 분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쉼표가 있는데 도 불구하고 휴지(Pausas)를 하지 않고 한 개의 성조단위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Sí, señor. No, señor. 등은 분리되지 않고 한 개의 성조 단위로 발음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쉼표나 마침표 등의 휴지를 위한 문장 부호가 없어도 성조 단위로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 30 - 한 성조 단위는 억양을 이해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개념으로, 성조 단위 속에서 억 양의 높낮이의 변화가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다. 화자가 자신의 발화를 논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성조단위의 경계를 설정하 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는 휴지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Gli Gaya(1975:58-59)가 언급하는 바와 같이 화자가 발화하는 내용은 문장부호가 아닌 휴지로, 성조단위와 함 께 억양의 역할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발화기술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Quilis(1975:163)는 휴지(pausas)를 발화시 생성하게 되는 멈춤과 언어 간섭 현상으로 휴지로 정의하고, 신체적인 그리고 언어적인 두 이유로 인해 실현된다고 설 명하였다. 아울러 선택형 휴지(pausas opcionales)는 휴지(pausas)의 유무가 의미 전 달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기에 각각의 발화자의 개성 또는 개인의 특징에 따라 선택하 여 휴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Iribarren(2005:103)은 이러한 휴지(pausas)는 필 수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선택이 될 수도 있지만. 이 선택이 자의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였다. 문장 내에서 휴지(pausas)의 적절한 실현함으로써, 문장을 단순한 낱말의 연속체 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낱말들의 결합으로 보게 함으로써 글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가속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조단위 사이에 생기는 휴지(pausas)는 청자에 게 화자의 말을 듣고 생각할 시간을 제공하여 아이디어가 쉽게 처리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7.2. 말미 연접 (Tonema) Navarro(1974)의 정의에 따르면, 말미 연접(tonema)이란 성조 단위에서 마지막 부분의 음의 높이 변화이다. Sosa(1999:31-33)는 이를 마지막 강세 음절부터 시작하 여 마지막 음절까지의 총체적인 억양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구어체에서는 휴지 (pausas)가 의무적이지 않기 때문에, 말미연접의 억양으로 어디가 휴지(pausas)가 필 요한 곳인지 구분 지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같은 한 문장이라도 휴지(pausas)의 수와 - 31 - 말미연접(tonema)의 수에 따라 성조 단위의 수가 결정된다고 설명하였다. Quilis(1975:165-168)는 말미연접을 5가지로 자세히 분류하였다. 첫째, 완전-하강 조(Cadencia)는 가장 낮은 억양으로 억양이 약 8반음정이 하강하며, 대부분 긍정문에 서 쓰인다. 둘째, 중-하강조(Semicadencia)는 억양이 약 3~4 반음정이 내려가며, 약 간은 불충분하고 불확실한 정보를 표현할 때 쓰이는 억양이다. 셋째, 수평조 (Suspensión)는 성조단위의 중반부(la parte interior)에서 주로 사용되고, 억양이 같은 일정 높이로 유지되며 불완전한 의미 혹은 문장을 계속 이어나가야 할 때 나타난다. 넷째, 완전-상승조(Anticadencia)는 4~5 반음정이 상승하며, 마지막 강세 음절로부터 억양이 상승한다. 주로 의문문과 종속절에서 사용되는 상승억양이다. 다섯 번째로, 중 -상승조 (Semianticadencia)는 억양이 2~3 반음정이 상승하는 상승억양에 해당된다. 모든 평서문은 문장이 끝났음을 의미하는 하강조로 끝맺는다. 성조단위의 수에 따 라 상승조, 중-상승조, 수평조, 그리고 중-하강조등으로 아직 문장이 끝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의문문은 보통 상승조로 끝남으로써 상대방의 답변을 기다린다는 표 현을 하게 된다. 상승조과 하강조가 성조단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을 나타내고, 다른 중-상승조, 수평조, 중-하강조은 하강조과 상승조의 세분화된 구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차이도 아주 미세하다고 할 수 있다.16) 성조단위의 마지막 부분의 억양의 흐름과 그 음운적 가치(valor fonológico)는 거 의 대부분의 스페인어 구사자들에게 일관성 있게 나타난다. 그러나, 성조단위의 중반 부의 멜로디는 지역적 사투리 등에 따라 다양한 어조의 흐름이 나타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