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isos

성조군의 중반부의 멜로디의 변형 본문

스페인어문학, 올라!

성조군의 중반부의 멜로디의 변형

③㎍ 2020. 9. 6. 10:00

예를 들어 멕시코 사람은 스페인 사람과 똑같은 어조로 말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마드리드 출 신 토박이가 마드리드에 온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과 동일한 억양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성조군의 중반부의 멜로디의 변형은, 스페인어라 는 공통 언어의 소통이라는 관점 하에서 거의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 것이다. 절이나 문장 단위의 끝에서 구현되는 말미연접은 억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문장 내에 서 말미 연접에 비종결과 종결의 휴지(pausas)를 구분해 주어 억양이 구현되는 것이 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요 말미연접의 변화만으로 다양한 문항의 억 양 패턴의 비교 분석을 하겠다. 16)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Gili Gaya(1975:62) 참조. - 32 - 2.7.3. 억양의 높이 (tono) Iribarren(2005:110)에 따르면, 억양은 음의 높이(tono)의 총 집합체이자, 음조의 높낮이로 정의된다. 17) 서로 연결된 음조는 음악의 멜로디로 비유될 수 있는데, 발화시 사용되는 음조는 음악의 음조보다 더 제한적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음악적 멜로디와 동일시 될 수는 없다. 음악의 음조는 고정된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발화시 사 용하는 음조는 개개인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가 발화시 사용하는 음조는 일반 성인의 그것보다 훨씬 고음일 것이다. Dalbor(1980:221-222)에 의하면, 이러한 성조는 단어나 구(phrase), 절(clause) 또는 문장(sentence)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방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각각의 단어들이 서로 다른 성조를 띄고 있는 중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은 성조 언어(Tone languages)로 분류한다. 분절음의 음소는 같은 성격을 띠지만 같은 음절 내에서 성조 가 달라지면 그 어휘적 의미도 변화된다. 이에 반해 영어나 스페인어에서의 성조는 구, 절, 문장에 있어, 어휘적인 의미 변화 보다는 문법적인 다른 체계를 컨트롤 하게 되는데, 이러한 언어를 억양 언어라고 분류한다. 두 언어 모두 평서문에서는 하강 성 조를, 의문문에서는 상승 성조를 사용하는 것이 공통적이다. Dalbor(1980:228)에 따르면, 영어는 네 개의 서로 다른 성조(pitch)를 가지고 있 고 하였다. 즉, 가장 낮은 ‘성조 1’, 중간 단계인 ‘성조 2’, 높은 성조인 ‘성조 3’, 그리 고 더 높은 단계인 강조 ‘성조 4’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반면, 스페인어는 가장 낮은 성조 1(tono 1), 중간 레벨의 음의 높이인 성조 2(tono 2), 그리고 강조 성조 3(tono 3)의 세 가지 성조로 분류된다. 물론 성조 1보다 낮은 음의 높이로, 혹은 성조 4보다 더 높은 성조로 발화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특별한 경우는 "언어 외적인 (extra-linguistic)"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성조도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어, 개개 인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성조 1과 2는 일반 회화체에서 많이 쓰이는 반면, 성조 3의 형태는 강조하거나 수정, 혹은 반박할 경우 등에서만 쓰인다. 17) Celce-Murcia(1996:184)는 영어에서 음의 높이(tono)는 pitch(피치)로 정의하며, 억양의 높이를 4단계, 즉 강조, 놀람을 나타내는 4단계, 보통 문장에서 어느 부분을 강조시 사용하는 3단계, 보통 문장의 처음에서 주로 나타나는 2단계, 마지막으로 보통 문미에서 나타나는 1단계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의 높이를 성조로 정의할 것이다. - 33 - Iribarren(2005:106)은 성조의 사용은 절대로 임의적이거나 예견 불가능한 것이 아 니라고 설명하였다. 성조는, 아래와 같이 성조 단위 내에서 어떤 특정한 위치와 연관 되어 형성된다고 하였다. 성조 1은 가장 낮은 음조로, 성조단위의 첫 부분의 비강세 음절에서 사용되고, 성조 2는 성조단위의 강세 음절의 첫 부분에서 나타나며, 성조 3 은 한 단어를 강조할 경우 사용되는 성조이다. 이와 같이, 스페인어는 성조(tono)를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성조단위의 첫 부분에서 첫음절이 비강세 음절 인 경우, 둘째로, 첫음절이 강세 음절인 경우, 셋째로, 마지막 성조단위의 마지막 강세 음절인 경우,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말미연접 또한 성조(tono)와 밀접한 관 련이 있는데, 말미연접 중 상승말미연접은 성조 2 또는 3에서 끝을 올리는 연접이며 지속말미연접은 성조 1또는 2에서 지속되는 연접이다. 그리고 성조 1은 억양 성조 2 에 하강말미연접이 적용되는 것이다. 단, 본 논문에서는 말미연접(tonema)의 변화만을 분석할 것이므로, 성조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논하지는 않을 것이다. - 34 - Ⅲ. 실험 방법 3.1. 실험 목적 본 연구는 Quilis(1975)가 제시한 억양 패턴을 바탕으로 실제로 학생들이 동일한 억양패턴으로 발화하는지 아니면 다른 억양 패턴으로 발화하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 보고자 한다. Quilis가 제시한 문장과 동일한 스페인어 문장 유형에 따라, 13개의 서로 다른 문장을 만들어 녹음 자료로 활용하였다. 실지로 Quilis가 주장한 억양 패턴 그대 로 동일하게 스페인어 원어민 여성이 읽는 문장과 한국 학생들이 동일한 문장을 읽을 때 나타내는 억양패턴을 좀 더 자세히 비교 관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페인 원어민 화자들이 실제로 스페인어 문장을 발화할 시 문미 억양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보고, 한국의 스페인어 학습자의 억양 구현 양상과 비교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스페인어 억양 지도 시에 적용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3.2. 대상 및 분석 자료 3.2.1. 실험 대상 실험의 대상자는 비교 대상이 되는 스페인어 원어민과 한국인 피실험자이다. 한국 인 피험자는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스페인어 학습자 총 80명의 학생들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를 스페인어 전공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본 연구의 목적이 스페인어 전공생들의 억양 교육 실태를 조사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기본적인 문법과 함 께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교육을 받은 초급 이상의 수준의 학습자들 80명을 대상 으로 조사하였으며, 스페인어 원어민 화자 1명을 피험자로 하였다. 18) 18) 본 실험에서 원어민의 발화를 녹음한 이유는 Quilis가 주장한 말미연접(tonema)의 변화 양상을 기준으로 삼고 이를 - 35 - [표 3] 피실험자 정보 3.2.2. 실험 분석 자료 본 실험 연구에서 사용될 자료는 아래와 같이 스페인어의 가장 대표적인 문장 유 형별로 총 13문장을 선별하였다. 일반 평서문, 정보 의문문, 가부 의문문, 선택 의문 문, 부가 의문문, 감탄문, 등위절 평서문, 등위 접속사 동반 혹은 미동반 나열형, 문두 나열형, 단문 명령문, 복문 명령형, 설명절 등의 각각 다른 문장 형태별로 선별하였다. 선별한 문장을 원어민 여성 1명과 한국인 피험자 80명으로 총 81명이 각각의 실 험 문장을 1회씩 발화하여 녹음하였다. 1인당 발화 문장 수는 13문장으로 총 81명이 녹음하였으므로 실험 문장의 총수는 1053개 (13개 X 81명)이다. 문장 유형별로 살펴 보면, 평서문 단문과 복문이 총 6문장, 서로 다른 의문문이 4문장, 명령문 2문장과 감 탄문 1개로 구성된다. 문장 형태에 따른 녹음 분석한 문장 종류를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다. 그래프 상으로 실현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이 원어민 화자의 그래프는 본 논문에서 기준으로 삼고자 하는 Quilis의 억양 패턴을 실현한 것이다. 이 기준 그래프는 학생들이 녹음한 자료를 토대로 구현한 그래프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대조분석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모든 원어민이 늘 이와 같은 동일한 억양 곡선으로 발화한다는 뜻은 아니다. 개인차가 존재할 수 있고, 문맥과 상황에 따라 상이한 억양 곡선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