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sos
억양 그래프와 높이 변화 본문
국적 나이 성별 직업 원어민 화자 아르헨티나 28 여 대학교수 한국인 화자 여 남 60명 20명 - 36 - [표 4] 문장 형태에 따른 문장 종류 문장 종류 문장 형태 평서문 1. Tengo que hacerlo ahora. 정보 의문문 2. ¿Dónde está tu padre? 가부 의문문 3. ¿Hay muchos alumnos en su clase? 선택 의문문 4. ¿Te quedas o te vas? 부가 의문문 5. Es estupendo, ¿verdad? 감탄문 6. ¡Qué aburrimiento! 등위절 평서문 7. Hablan francés y entienden alemán. 등위 접속사 동반 나열형 8. Esto es práctico, elegante y barato. 등위 접속사 미동반 나열형 9. Mi novia es atractiva, simpática, muy lista. 문두 나열형 10. Manolo, Carlos y Carmen cantaron en la fiesta 명령문(단문) 11. ¡Come aquí con nosotros! 명령문(복문) 12. Baja la música, por favor. 설명절 13. La obra, que se representó en el teatro, fue un auténtico fracaso. 3.3. 실험 분석 방법 분석 방법은 녹음기를 이용하여 외부소리가 제한될 수 있는 조용한 교실에서 녹 음을 하였다. 녹음을 하기 전에 충분히 문장들을 인지하고 읽어볼 수 있는 5분의 시간 을 주어 자연스럽게 발화를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총 녹음 대상자는 100명이었지 만 주위의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녹음 대상자들의 실수나 녹음과 관련된 오류 부분이 발생하여 80명의 녹음자료만 사용하기로 하였다. 분석 자료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Praat이라는 음향기재를 사용하여 음 - 37 - 성녹음을 분석하였다. 피실험자들이 각각 한 개의 파일로 녹음을 하였기에 실험 문장 을 다시 13개의 문장별 파일로 다시 분류 저장하였다. Praat에서 파일을 불러오면 문장 단위로 기본 주파수 곡선(fundamental frequency)과 스펙트로그래프(spectrograph)가 화면에 나타난다. 각 문장을 웨이브 (wave)파일로 개별 저장하여 일반화하였고, 가장 자리 성조 부분에 주석을 달고 Praat Picture 화면에서 복사하여 일반 워드파일에 옮겨 놓았다. 따라서 문장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억양 곡선의 흐름을 좀 더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분석 자료에서 나타 나는 화면은 발화체의 음성 파형(wave form)과 기본 주파수 곡선(fundamental frequency), 즉 억양 곡선(pitch)을 보여 준다. 하지만 본 실험 연구에서는 억양 곡선 을 위주로 살펴보므로 음성파형은 나타내지 않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될 억양 그래프를 살펴보면 억양 곡선 아래 부분에서 보이는 숫 자 1,2,3은 주석 1, 주석 2, 주석 3을 의미한다. 주석 1에서는 해당 문장을 기술하였 고, 주석 2에서는 음의 높이(tono)를 H(tono alto), M(tono medio), L(tono bajo)로 나뉘어 표기하였다. H(tono alto)는 각각의 성조 단위에서 가장 높은 음의 높이이고, M(tono medio)는 중간 정도의 음의 높이이며 L(tono bajo)는 가장 낮은 음의 높이를 나타낸다. 주석 3에서는 주석 2의 억양의 높이 변화(tonema)를 하강조(cadencia), 중 -하강조(semicadencia), 상승조(anticadencia), 중-상승조(semianticadencia), 수평조 (suspensión)로 나뉘어 표기하였다. 즉 각 성조 단위에서 하강조(cadencia)는 HL를 의미하고, 중-하강조(semicadencia)는 ML 또는 HM을, 상승조(anticadencia)는 LH, 중-상승조(semianticadencia)는 LM 또는 MH을, 마지막으로 수평조(suspensión)는 MM으로의 억양 높이 변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주파수는 80~250Hz이고 여자의 경우는 100~400Hz에 해당하였다. 남성의 억양 곡선은 여성에 비해 단조롭고, 이에 반해 여성의 억양 곡선이 시각화하여 억양의 변화를 살펴보기에 좀 더 용이하여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억양 곡선만을 예시로 사용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억양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 억양표기방법인 숫자와 화살표 표기 를 사용하였는데, 성조는, 성조 1, 성조 2, 성조 3의 숫자표기를 사용하였다. 성조 1은 가장 낮은 성조, 중간 높이의 성조는 성조 2, 그리고 강조나 반박 시 사용하는 가장 높은 성조는 성조 3로 표기하겠다. 그리고 성조 단위의 마지막 부분의 말미연접은 화 - 38 - 살표로 상승말미연접은 ↑ 혹은 ↗로, 하강말미연접은 ↓ 혹은 ↘, 그리고 수평말미연 접은 →로 각각 표기하기로 한다. 단, 영어에선 성조 3까지 사용하지만 스페인어에서 는 성조 3은 강조의 패턴에서만 사용되므로 거의 성조 1과 성조 2만 대부분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39 - Ⅳ. 실험 분석 결과 및 논의 4.1. 문장 유형별 문미 억양 분석 결과 4.1.1. 평서문 중립적인 태도로, 감정적 개입 없이 관찰 또는 이해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 는 문장 그리고 끝난 행위 및 판단이나 확신 등을 표현하고자 할 때 쓰인다. 모든 평 서문은 하강말미연접으로 끝난다. Quilis는 평서문에서의 가장자리 성조는 항상 하강조 (cadencia)를 보이며, 마지막 성조 단위의 하강조의 억양은 문장의 마지막 음절에서 하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 강세 음절에서부터 서서히 하강조로 발화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림 4-1] Quilis 평서문 억양 발화 곡선 El coche es bonito. 먼저 Quilis가 설명한 평서문 억양 곡선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단순한 평서문은 말을 마무리 짓는 하강 억양을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아래 표를 보면 원어민 화자 와 한국인 화자 모두 하강 억양을 선택하여 발화함을 알 수 있다. 평서문의 하강조의 억양 곡선을 살펴보고 한국인과 원어민의 억양 발화 곡선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 40 - [그림 4-2] 원어민 여성의 평서문 억양 발화 곡선 [그림 4-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원어민의 억양곡선은 자연스러운 하강조의 곡 선을 보임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림 4-3] 한국인 여성의 평서문 억양 발화 곡선 1 - 41 - [그림 4-3]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일반 평서문에서는 78명의 학생들이 하강 억양 (Cadencia)으로 발화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림 4-4] 한국인 여성의 평서문 억양 발화 곡선 2 단, [그림 4-4]에서 볼 수 있듯이 2명의 학생들이 수평조의 억양을 보였음을 억 양곡선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일반 평서문은 하강 억양으로 발화해야 하는 데, 이와 같은 일반 평서문의 문미 억양에서 하강 억양으로 발화하는데는 별 문제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평서문은 한국어에도 존재하는 형태로, 많은 연습 으로 인해 숙달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문장유형에 따른 억양학습에서 평서문이 모두 하강조로 발화된다는 이론은 너무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Brazil(1985)는 담화 내에서 억양선택은 절 유형에 관계없이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관 계의 지배를 받는다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화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청자가 모르는 새로운 정보일 경우에는 공유지식의 확대를 불러오기 때문에 하강조를 선택하지만, 같 은 평서문이라 할지라도 화자가 제시하는 정보가 청자가 이미 공유하고 있는 정보 및 사실일 경우에는 상승조를 선택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또한 평서문에서의 억양 형태 선택행위를 의사소통적 의도와 연관시켜 다음과 같은 담화문에서 설명하였다. - 42 - A: /5a Did you go for your interview yesterday?/ B: /5b Yes, I did. /5c But I don't think I wore the right clothes./ A: /5d What did you wear?/ B: /5e I had to wear my jeans./ A: Your jeans? Oh, I see. B: But I wore a tie. A: /Tony, / for a job like that/ /5f everybody would be wearing suits./ 5b,5c,5e는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이 모르는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여 청자와의 공 유지식 확대를 불러오기 때문에 하강조가 선택되고, 5f는 화자가 청자에게 화자가 모 르는 지식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취업면접을 볼 때는 정장을 한다는 일반상식을 제공 하여 청자와의 공유지식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조의 억양이 선택된다고 설명하 였다.
'스페인어문학, 올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부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 (0) | 2020.09.06 |
---|---|
의문사로 시작되는 정보 의문문 (0) | 2020.09.06 |
성조군의 중반부의 멜로디의 변형 (0) | 2020.09.06 |
의문문에서의 상승조와 상대방의 답변 (0) | 2020.09.06 |
교수자와 학습자의 억양의 기능 이해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