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isos

가부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 본문

스페인어문학, 올라!

가부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

③㎍ 2020. 9. 6. 13:00

Kenworthy(1992:74)는 가부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은 상승조의 억양이나 하강조의 억양도 의사 소통 기능에서 다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하 면서 상승조의 억양은 상대방의 답변에 대한 확신의 부족과 함께 상대방의 답변을 기 다리는 의문문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가부 의문문에서 하강조의 억양을 사용함으로써 23) Vaquero(2000:55)는 Entonación estilística 는 의무적인 억양 패턴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지역적 그리고 애정적인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상승조 또는 하강조의 억양 등으로 다양하게 발화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24) Thompson(1995:235)은 억양과 의사소통 기능과의 밀접한 관계를 역설하였고, 특히 영어의 가부 의문문의 하강조 의 억양이 실지로 교실 내의 억양 교육에서 많이 간과되어왔다는 점을 첨언하였으며, 가부 의문문의 하강조의 억양 과 화자의 의사 소통의 의도와 연관 관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Brazil(1985), Halliday(1985), Tench(1989), 등의 기 술이론에 따르면, 맥락 의존적이라는 억양의 특성이 억양이 결코 통사단위가 될 수 없으며, 담화내에서 화자가 자 신의 특정한 의사소통적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억양선택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 50 - 상대방의 답변이 긍정의 답변이 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Brown & Levinson(1987)의 경우는 억양의 선택에 있어서 문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적 절한 억양의 규칙이 일상의 의사 소통 과정에서는 실제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주장은 화자가 상대방의 답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고 확 실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에 대한 질문에 대한 관심의 표현과 예의를 표현하 기 위해 상승조의 억양을 사용하기도 하는 현상에 근거한 주장으로 억양의 가변적 특 성에 대하여 언어부차적 요소(paralingüístic phenomenon)들 중 중요 발화 유형 판단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1.4. 선택 의문문 선택 의문문은 청자의 선택을 요하는 질문에 해당하므로 두 가지 이상의 선택 사 항이 접속사 ‘o’ 로 연결되는 의문문으로, 일반 가부 의문문과 일반 평서문의 억양 패 턴이 합쳐진 형태이다. 25) [그림 4-13] Quilis의 선택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Fue Pedro o Enrique? Quilis의 억양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첫 번째 성조 단위에서는 억양이 상승하 고 두 번째 성조 단위에서는 억양이 하강 곡선을 그리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25) Navarro(1974:228)는 가부 의문문의 첫 부분의 의문문의 상승 억양은 상대방의 대답의 가능성이 첫 번째 의문문일 가능성이 더 크고 관심이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 51 - [그림 4-14] 원어민 여성의 선택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위의[그림 4-14] 그래프에서 원어민 여성의 억양 발화 곡선에서 볼 수 있듯이 ¿Te quedas↗ o te vas↘? 로 억양이 접속사 앞에서는 상승하고 다시 문장 말미에서 는 하강조로 발화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선택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 곡선은 /122↑211↓/로 발화해야 한다. - 52 - [그림 4-15] 한국인 여성의 선택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1 80명 중 32명의 학생들은[그림 4-15]와 같이 잘 발화하였음을 상기 억양 그래 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림 4-16] 한국인 여성의 선택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2 - 53 - 40명의 학생들은[그림 4-16]에서 볼 수 있듯이 가부 의문문의 경우와 같이 두 번 다 상승 억양을 사용하여 /222↑ 211↑/로 발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림 4-17] 한국인 여성의 선택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3 또한 [그림 4-17]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8명의 학생들은 /222↓211↓/ 또는 /222→211↓/의 하강 또는 수평조로 발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보 의문문과 가부 의 문문 경우와 마찬가지로 과반수이상의 학생들이 선택 의문문 역시 상승조로 발화해야 한다고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의 문문에 대해서는 정확한 억양을 구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억양 발화 교 육을 강화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1.5. 부가 의문문 부가 의문문은 하나의 완결된 서술문 뒤에 쉼표를 표기하고 또 다른 질문이 포함 - 54 - 된 의문문 형태이다.26) [그림 4-18] Quilis의 부가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No estás cansado, ¿verdad? Quilis의 억양 곡선을 살펴보면, 첫 번째 성조 단위 즉 평서문에서는 일반 평서문 과 똑같이 하강조의 억양으로 발화하고, 두 번째 성조단위에 해당하는 부가 의문문은 상승조로 발화해야 한다. 즉 부가 의문문의 보편적인 억양은 / 211↓ 223↑/의 억양 패턴을 따른다고 설명하였다. [그림 4-19] 원어민 여성의 부가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26) Vaquero(2000:57) 참조. - 55 - [그림 4-19]의 원어민의 억양 발화 곡선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부가 의문문에서 는 첫 번째 성조 단위에서는 평서문과 같이 하강 억양으로, 의문문 부분에서는 상승조 로 발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20] 한국인 여성의 부가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1 [그림 4-20]과 같이 68명의 학생들이 원어민의 억양 곡선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즉, 첫 번째 성조 단위에서 하강조로 두 번째 성조 단 위에서는 상승조로 잘 발화하였음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부가 의문문은 영어나 한국어 억양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사용으로 무의식적으로 습득된 억 양이라 여겨진다. 단, 12명의 학생들은 아래의 억양 곡선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서로 다른 억양으로 발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 56 - [그림 4-21] 한국인 여성의 부가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2 즉, 10명의 학생들은 [그림 4-21]에서와 같이 첫 번째 성조 단위에서 상승조로 발화하는 경우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22] 한국인 여성의 부가 의문문 억양 발화 곡선 3 - 57 - 또한, 2명의 학생들은 첫 번째 성조 단위에서 하강조의 문미 억양을 사용하는 것 이 발견되었음을 그래프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4.1.6. 감탄문 감탄문은 놀람, 기쁨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모든 단어들을 강조하여 발음한다. 감 정을 표현하므로 주관성이 많이 주입되는 의사 전달 표현이다. 강하게 발음되는 성조 단위 사이에는 항상 감탄문 기호 (!)를 써야만 하며, 많은 경우 명령문이 동시에 감탄 문이 되기도 한다. 감탄문은 억양이 하강조이며, 기쁨, 미움, 위험, 두려움 등의 감정 을 표현하는 어떤 단어나 (¡Fuego! ¡Socorro! ¡Basta!) 감탄사 (¡Ay!)들도 감탄문의 억양을 형성하여 발화된다.27) [그림 4-23] 원어민 여성의 감탄문 억양 발화 곡선 감탄문의 억양은 [그림 4-23]과 같이 명령문의 억양과 같이 하강조의 억양으로 27) Vaquero(2000:58) 참조. - 58 - 발화해야 한다. [그림 4-24] 한국인 여성의 감탄문 억양 발화 곡선 1 [그림 4-24]에서처럼 감탄문을 하강조로 발화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별 어려움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단 17명의 학생들이 원어민과 유사한 감탄문의 억양 곡선을 사용 하여 발화하였음을 상기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 59 - [그림 4-25] 한국인 여성의 감탄문 억양 발화 곡선 2 나머지 58명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상기의 억양 곡선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원어 민에 비해서 다소 평이하고 안정적이며, 매우 단조로운 평서문의 패턴을 사용하여 발 화하였다. - 60 - [그림 4-26] 한국인 여성의 감탄문 억양 발화 곡선 3 위의 [그림 4-26]에서와 같이 중-상승조를 사용하여 발화한 학생도 5명이 발견 되었다. 이러한 감탄문의 평이하고 단조로운 곡선은 한국어에서 감탄문에 대한 교육과 연습이 부족해서 생긴 현상으로 해석된다.

Comments